
김수현, 가난이 사는 집 목차 메모1장. 집 - 인류의 역사를 5,000년 정도로 본다면 대부분은 농경사회 Q. 국가 운영의 핵심? 어떻게 하면 모든 인구가 농경지를 놀리지 않고 부지런히 농사짓도록 하느냐? - 산업혁명 + 공업생산 Q. 농토에 묶여 있던 농민들을 도시 노동력으로 어떻게 활용하냐? 1960년 서울 인구 244만 명 (전국 인구의 10%) > 1990년 1,100만명 서울과 대도시에는 인구 폭발이 일어났고, 잠잘 곳을 찾지 못한 이농빈민들이 넘쳐나게 되었다. 25P 서울은 조선 후기부터 극심한 빈곤과 사회 변화 속에서 농촌을 떠난 유민들이 몰려들던 곳이었다. - 가가 : 임시로 지은 집- 토막 : 흙 위에 가마니 같은 덮개를 덮었다는 뜻의 토막 - 토막촌 : 토막이 모여있는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