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ooks. 3

[김수현] 가난이 사는 집, 판자촌의 삶과 죽음_m1

김수현, 가난이 사는 집 목차 메모1장. 집 - 인류의 역사를 5,000년 정도로 본다면 대부분은 농경사회 Q. 국가 운영의 핵심? 어떻게 하면 모든 인구가 농경지를 놀리지 않고 부지런히 농사짓도록 하느냐? - 산업혁명 + 공업생산 Q. 농토에 묶여 있던 농민들을 도시 노동력으로 어떻게 활용하냐? 1960년 서울 인구 244만 명 (전국 인구의 10%) > 1990년 1,100만명 서울과 대도시에는 인구 폭발이 일어났고, 잠잘 곳을 찾지 못한 이농빈민들이 넘쳐나게 되었다. 25P 서울은 조선 후기부터 극심한 빈곤과 사회 변화 속에서 농촌을 떠난 유민들이 몰려들던 곳이었다. - 가가 : 임시로 지은 집- 토막 : 흙 위에 가마니 같은 덮개를 덮었다는 뜻의 토막 - 토막촌 : 토막이 모여있는 ..

Books. 2025.05.19

[룰루 뮐러]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

1851년 데이비드 조던 탄생. 뉴욕주 북부 한 사과 과수원 1859년 종의 기원 세상에 공개 (분류학자로서 가장 받아들이기 어려웠던 것은 아마도 종들이 그 본성상 변경할 수 없이 확고한 범주가 아니라는 생각이 있을 것이다. 다윈은 전통적으로 하나의 종으로 여겨온 생물들에게서 너무 많은 다양성을 목격했고, 그 결과 종들 사이에는 넘을 수 없는 확실한 경계선이 존재한다는 생각이 서서히 지워졌다.)1873년, 데이비드 코넬대학 졸업생, 메사추세츠 페니키스섬에서 루이아가시와 많은 것들을 경험1880년, 미국 인구조사의 일부로 태평양 연안에 사는 어류 종들의 목록을 만드는 임무를 맡고 파견됨 + 찰리 길버트1883년, 데이비드의 연구실 아래층 사무실에 불이 남 1885년, 수전 폐렴으로 사망,1886-7년, 제..

Books. 2025.03.23

나는 메트로폴리탄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-페트릭 브링리-

감상평 이 책은 내가 처음 도입부에서 읽어보려고 시도하다 여러번 실패한 책이다. 최근에 미술관에 한번 다녀왔고, 좀 힘든 일들이 겹쳐서 지쳐있는 상태였는데 어느 순간에 눈에 보여서 책을 펼쳐들고 술술 읽게된 그런 책이다. 메트로폴리탄의 경비원인 주인공이 왜 이 일을 시작할 수 밖에 없었고, 그 사람의 사연을 알게 된 후 어떻게 그것을 극복했을까라는 궁금증이 생겼다. 페트릭브링리가 형을 잃은 슬픔에 빠져 메트로폴리탄으로 숨어 들어간 후 다시 세상에 나오기까지 메트로폴리탄의 예술 작품들은 그에게 치유가 되어준 것 같다. 나도 서울에 빠른 시간속에서 살아가다보면 가끔 너무 벅차 그 시간을 따라가지 못하는 기분이 들고, 또 어떤 날은 아주 어린 시절로 돌아가 사람이 아무도 없는 작은 시골에 있고싶다는 생각이 들..

Books. 2024.12.28